패키징 기초
이전
다음

3장. 패키징 기초

차례

도구없이 패키징 하기
changelog
control
copyright
rules
postinst and prerm
소스 패키지 만들기
Debhelper 로 패키징
소스 패키지 만들기
CDBS로 패키징
패키지에 CDBS 사용 하기
CDBS에 대한 더 많은 정보
패키지 업데이트 하기
일반적인 실수
dh_make 예제 파일
원래의 Tarball 변경 하기
저작권 정보

많은 초보 패키지 관리자가 직면하는 두 가지 문제는 패키징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과 그 일을 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보다 많은 것은 있다는 것 입니다. 우리는 일반 빌드 시스템을 가지고 세 가지 예제를 읽어보게 됩니다. 첫 번째, 우리는 아무 빌드 도움 프로그램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 접근 방법은 보통 가장 어렵고 실제에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패키징 과정을 들여보는데 가장 단순한 것을 줍니다. 두 번째, 우리는 데비안에서 가장 일반적인 빌드 시스템인 debhelper 를 사용할 것 입니다. 이것은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 함으로서 패키지 관리자를 돕습니다. 세 번째, 우리는 간략하게, debhelper 를 사용하는 것보다 좀 더 간소화 된 Common Debian Build System (CDBS) 에 대해 알아볼 것 입니다.

작은 정보

패키지 개발은 종종 보통의 데스크탑 우분투 설치의 부분이 아닌 많은 패키지 (특히 헤더와 여타 일반 개발 파일을 가지는 -dev 패키지) 들을 설치하는 것을 요구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추가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을 피하길 원하거나 현재 여러분이 가진 것과 다른 우분투 릴리스를 (예를 들어, 개발 버전) 위해 개발하고 싶다면, chroot 환경의 사용을 강력히 권장 합니다. chroot 을 설정하는 안내는 부록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전
다음
처음으로